1. 스프링부트3 구조 살펴보기 1. 계층 이해하기 프레젠테이션 계층 HTTP요청을 받고 요청을 비지니스계층을 전송하는 역할 > 컨트롤러가 프레젠테이션 계층의 역할을 하는 클래스 비지니스 계층 서비스를 만들기 위한 로직, 즉 모든 비지니스 로직을 처리하는 계층 퍼시스턴스 계층 모든 데이터베이스 관련 로직을 처리, 리포지토리는 퍼시스턴스계층의 역할을 하는 클래스 2. 디렉터리 살펴보기 main 실제 코드를 작성하는 공간 - 1) java 프레젠테이션, 비지니스, 퍼시스턴스 계층의 코드를 담은 곳 - 2) resources js, css, 이미지 등 정적 파일을 넣을 static 디렉터리 스프링부트 설정(DB 설정, 로깅 설정)을 담은 application.yml 파일 > 스프링부트가 실행되면 자동으로 로딩..
3. 스프링부트3 둘러보기 3-1. 스프링부트3 예제 만들기 1단계 : Testcontroller.java클래스 생성 후 코드 작성 @RestController public class TestController{ @GetMapping("/test1") public String test1(){ return "Hello World"; } } 2단계 : 웹브라우저에 http://localhost:8080/test로 접속하기 3-2. 스프링부트 스타터 살펴보기 (p.55 - p.58) 1단계 : build.gradle 파일 살펴보기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testImplementation '..
1. 스프링과 스프링부트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 대규모의 복잡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 스프링 : 앤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개발환경을 제공해 서버 성능, 안전성, 보안을 제공하는 도구 스프링부트 : 스프링의 설정을 보완하는 프레임워크 스프링 스프링부트 목적 앤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쉽게 만들기 스프링의 개발을 더 빠르고 쉽게 하기 설정 파일 개발자가 수동으로 구성 자동 구성 XML 일부 파일은 XML로 직접 생성하고 관리 사용하지 않음 인메모리 데이터 베이스 지원 지원하지 않음 인메모리 데이터 베이스 자동 설정 지원 서버 별도로 수동 설정 (예: 톰캣) 내장형 서버를 제공해 별도의 설정 필요 없음 2. 스프링 콘셉트 공부하기 2-1. 제어의 역전과 의존성 주입 제어의 역전(IO..
1. 서버와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서버로 요청하는 프로그램 모두를 일컫는 말 > 대표적으로 웹브라우저 서버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 처리하는 주체 2.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여러 사람이 사용할 목적으로 관리하는 데이터 저장소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al DataBase) 데이터를 행과 열로 이루어진 테이블로 관리, 기본 키를 이용해 각 행을 식별 3. 아이피와 포트 아이피 인터넷에서 컴퓨터 또는 기기들이 서로를 식별하고 통신하기 위한 주소 (서버를 찾기 위한 번호) 포트 그 해당 서버에서 운동되고 있는 서비스를 구분하기 위한 번호 4.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 라이브러리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요한 기능인 클래스, 함수 등을모아놓은 코드의 모음 개발자가 소프트웨어를 만들 때 필요에 따라 원하는..